[Spring/JPA] JPA Batch Insert에 대해서 깊게 알아보자.
Batch Insert 개발을 진행하던 중에 대량의 데이터를 insert 해야하는 일이 있었는데 당시 환경에서 소요 시간이 꽤 걸려서 성능 향상을 위해 batch insert를 도입했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Batch Insert란? # 일반적인 개별 insert insert into member (username, age) values (...
Batch Insert 개발을 진행하던 중에 대량의 데이터를 insert 해야하는 일이 있었는데 당시 환경에서 소요 시간이 꽤 걸려서 성능 향상을 위해 batch insert를 도입했던 내용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Batch Insert란? # 일반적인 개별 insert insert into member (username, age) values (...
문제 및 원인 파악 이 블로그는 jekyll repository를 fork하여 생성한 github blog로 블로그 포스팅을 하고 있었다. 내 Github의 contributions(잔디)를 보니 잔디가 심어지지 않고 있어서 ‘fork 해왔더라도 내 계정 아이디 소유의 repository에 커밋을 했는데 왜 잔디가 심어지지 않는걸까?’라는 의문이...
BitSet Java로 ‘비트마스킹’을 이용해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할 때 비트 관리를 편하게 할 수 없을까 하다가 찾은 라이브러리이다. 패키지는 java.util.BitSet 이다. BitSet 은 비트들로 이루어진 vector로, boolean 배열처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량의 이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룰 때에 유용하다. 여러 비트를 한...
책 ‘면접을 위한 CS 전공노트’ 중에서 공부하고 싶었던 부분에 대해 요약 정리한 글이다. 이번에는 디자인 패턴 중에 DB 모듈 클래스에 많이 쓰이는 싱글톤 패턴을 깊게 보고,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에 대한 용어 정리를 간단하게 하고자 한다. 0. 사전지식 라이브러리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들을 모듈화한 것. ...
블로그, 드디어 만들었다. 주변에 개발 블로그를 하는 개발자가 많았는데 글 쓰는 재주가 없는 나이기에 핑계를 두고 미루다가 플랫폼을 고민해서 Github Blog를 만들었다. 1일 1커밋을 목표로 꾸준히 하고 있는데, 알고리즘 뿐만 아니라 블로그에 IT 관련 글 작성을 통해서 커밋을 할 수 있도록 마크다운 사용법 및 개발 공부를 꾸준히 ...